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돌비] 전기차 충전중 화재 왜 일어나는가?
    자동차정기.종합검사&카스토리 2023. 11. 27. 11:49
    728x90
    728x90

    https://commons.wikimedia.org/wiki/File:BMW_Car_Fire_%281623328784%29.jpg

     

     

    우리나라의 등록된 자동차 중 전기차는 약 45만 대가 등록되어 있다고 합니다. 전체 자동차의 약 1.8% 정도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변에서 보이는 거에 비하면 차량 대수가 적어 보이기는 하네요.

     

    그런데 TV에서는 한동안 전기차 화재에 대하여 방송을 많이 했었습니다. 지금은 많이 줄어든 거 같긴 하네요.

    자동차 제작사들이나 배터리 제작사들이 전기차 충전 중 화재가 일어날 수 있는 부분을 많이 개선한 걸로 보입니다.

     

    많이 개선이 되었지만 여전히 화재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알아야 하는 것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도록 하죠.

     

    전기차 충전 중 일어나는 화재는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배터리 과열 및 과충전: 전기차 배터리는 리튬이온 전지를 사용하며, 이는 과열이나 과충전 시 화재의 위험이 있습니다. 과열은 주로 배터리 내부에서 발생하거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손상된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충전 시스템 결함: 충전 케이블, 충전기, 플러그 등 충전 시스템의 결함이나 오작동은 화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함은 과전류나 과전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3. 외부 충격 및 손상: 전기차 충전 중에 외부에서 차량에 충격이 가해지면 배터리나 충전 장비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상된 부품은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배터리 제조 결함: 배터리의 제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결함은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배터리 팩 내부의 불량한 셀, 결점 있는 절연재, 또는 부적절한 조립은 화재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5. 충전 인프라 문제: 충전 스테이션이나 인프라의 결함은 충전 중 화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과전압이나 과전류가 인프라에서 발생하면 차량에 손상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6. 전력 공급 문제: 전기차 충전 중에 전력 공급에 이상이 생기면 화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력 공급 장치나 전력 공급망의 고장은 안전한 충전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7. 안전 시스템 결함: 전기차의 안전 시스템이 충분히 기능하지 않는 경우 화재 발생의 위험이 높아집니다.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이 과열이나 과충전을 감지하지 못할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재를 방지하고 대비하기 위해서는 제조사의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정기적인 차량 점검과 유지보수를 실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안전 교육을 받고 화재 대비 시나리오에 대한 훈련을 받는 것도 필요합니다.

     

    728x90
    728x90

     

    전기차 충전 중 일어나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1. 신뢰성 있는 충전 인프라 사용: 안전 인증을 받은 충전 스테이션과 충전 케이블을 사용하세요. 신뢰성 있는 충전 인프라를 이용하면 화재 발생의 위험이 줄어듭니다.

    2. 주기적인 차량 점검: 전기차를 주기적으로 정비하고 점검하여 배터리 및 충전 시스템의 상태를 확인하세요. 부품의 마모, 손상, 또는 이상 징후가 있는 경우 빠르게 수리하세요.

    3. 안전한 충전 환경 선택: 충전 시에는 안전한 환경에서 충전하세요.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장소에서의 충전은 피하고, 주변에 불쾌한 환경이나 화재의 위험이 있는 상황에서는 차량을 충전하지 말아야 합니다.

    4. 정상적인 충전 프로세스 유지: 충전 시스템과 차량의 충전 프로세스가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확인하세요. 이상 징후가 발생하면 즉시 충전을 중단하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5. 화재 탐지 및 진압 시스템 설치: 주택이나 사업장에 화재 탐지기와 소화기를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할 경우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세요.

     

    6. 안전 교육 및 훈련: 전기차 운전자 및 주변 환경에 대한 안전 교육을 받고, 화재 대비 훈련을 실시하세요. 화재 발생 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를 숙지하고 비상 상황에 대한 대응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7. 접지 확인: 충전 시스템이 충분한 접지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접지 부족으로 인한 정전기는 화재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8. 법규 및 규정 준수: 관련 국가 및 지역의 법규 및 규정을 준수하세요. 이는 안전한 충전 및 운전을 보장하는데 중요합니다.

     

    9. 비상 상황 대비 계획 수립: 화재나 비상 상황 시 대처할 계획을 수립하고 가족 또는 동료들에게 알림 방법을 공유하세요.

    안전한 충전 환경을 유지하려면 주기적인 정비와 점검, 안전 교육, 그리고 화재 대응 능력 강화가 필요합니다. 또한, 제조사의 안전 규정을 준수하고 안전한 운전 습관을 갖는 것도 중요합니다.

     

    https://www.flickr.com/photos/26344495@N05/50981261653

     

    충전 중에 화재가 발생했을 때, 빠르고 안전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충전 중 화재가 발생했을 때의 대처 방법입니다.

    1. 즉시 충전 중단: 화재가 발생하면 즉시 충전을 중단하세요. 충전기나 충전 케이블을 분리하고 전기 연결을 끊어 화재의 전파를 막습니다.

    2. 화염에서 안전한 장소로 이동: 화재가 발생한 곳에서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세요. 가능하다면 화재에서 멀리 떨어진 장소로 이동하여 안전을 유지하세요.

    3. 긴급 서비스 번호에 신고: 즉시 국내 긴급 서비스 번호나 화재 신고 번호에 신고하세요. 화재 대응 전문 기관이나 소방서에 도움을 요청하세요.

    4. 소화기 사용: 소화기가 근처에 있다면, 안전한 거리에서 소화기를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려고 시도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때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화재가 통제하기 어렵다면 즉시 대피해야 합니다.

    5. 주변에 경고: 주변 사람들에게 화재 상황을 알리고, 주변 사람들도 안전한 장소로 이동하도록 도우세요.

    6. 화재 대응 계획 실행: 사전에 화재 대응 계획을 수립해 두면 이를 기반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계획에 따라 행동하고, 대피 경로와 모임 장소를 활용하세요.

    7. 차량 주변의 안전한 거리 유지: 차량 주변에서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세요. 충전 중이던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안전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8. 가까운 안전한 장소에서 대기: 화재 진압이나 대응이 진행될 때까지 가까운 안전한 장소에서 대기하세요. 긴급 서비스나 소방대원들의 도착을 기다려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안전이 최우선이므로 자기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고, 자체적으로 화재 진압이 어렵다면 전문 대피 및 소방 단체에 의지해야 합니다.

    728x90
    728x90

    댓글

Designed by Tistory.